국내 ESG 금융 1000조 돌파...국민연금 위탁자산 대거 포함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한 위탁 자산 ESG로 분류
ESG 워싱 방지하기 위해선 택소노미 적용 필요

국내 ESG 금융이 1000조원을 돌파했다. 증가액 대부분이 지난 정기 국정감사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워싱 지적을 받은 국민연금기금의 위탁운용자산으로 분석됐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이용우 국회의원실은 29일 국내 공적 및 민간 금융기관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 현황을 분석·보고하는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이하 백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백서는 공적금융기관(82개)과 민간금융기관(89개) 전체를 대상으로 ESG금융과 관련한 전반적인 현황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한 것으로, 2021년 12월 최초 발간된 데 이어 세 번째다.

백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ESG 금융 규모는 1098조원으로, 올해 1000조원대를 넘겼다. 이는 전년대비 39.7% (312조 원) 증가한 수치인데, 국민연금기금 ESG투자 (책임투자) 증가액이 254조 원으로 총 국내 성장 규모의 91%를 차지했다.

국내 공적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701조 원으로 총 국내 ESG금융의 64.5%를 차지한다. 이는 민간 ESG금융 390조 원의 두 배에 가까운 규모이다. 공적금융은 2021년 대비 293조 원 늘어났으며, 증가액의 86.6%를 국민연금의 ESG투자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ESG 금융, 공적 부문 절반 차지

국민연금의 ESG 투자 규모는 2022년 말 기준 384조원으로 공적 부문 ESG 금융의 절반 이상이 이에 해당한다. 국민연금 다음으로 ESG 금융 규모가 큰 기관은 한국주택금융공사 122조원, KDB산업은행 64조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의 ESG 투자 규모는 2021년 130조원 대비 2022년 384조원으로 급격히 성장했다. 이는 국민연금이 운용사에 위탁한 국내·외 주식 및 채권 자산 전체에 해당하는 284조원을 'ESG 투자'로 집계했기 때문이다.

이전까지 위탁자산의 책임투자는 국내주식 중 책임투자형으로 운용된 자산만 ESG 투자로 집계했으며, 2022년 말 기준 이에 해당하는 것은 6조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은 실제 적용 여부와 무관하게 책임투자 및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한 자산운용사에 위탁한 자산 전체를 ESG 투자로 분류했다. 이에 따라 ESG워싱 의혹이 불거졌다.

민간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2021년 대비 5.1% 성장한 390.2조원이다. 특히 은행권이 이 중 72%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금융그룹별로는 NH농협금융이 우리, KB, 신한, 하나에 비해 큰 ESG금융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운용 자산 대비 ESG금융 비중도 NH농협 17%, 우리 13%, KB 8%, 신한 8%, 하나 6%로 NH농협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