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역세권 이렇게 달라진다…'용적률 520%' 올려 복합개발

▲ 올 1월 착공해 2026년 준공 예정인 지하철4호선 미아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사례 현황(왼쪽)과 계획안(오른쪽)/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역세권 고밀 복합개발을 위해 2019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진행한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속도를 낸다. '역세권 활성화 사업'은 직주근접이 가능한 서울의 역세권을 중심으로 입체적·복합적 개발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민간사업자는 용도지역을 변경해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공공은 증가한 용적률의 절반(50%)을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과 공공임대시설 등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난달말 기준 역세권 활성화 사업은 총 37개소가 진행 중이다. 이미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한 곳이 15개소고 안을 만들고 있는 곳이 2개소다. 사업계획을 수립 중인 곳도 20개소에 이른다. 가장 속도가 빠른 곳은 미아역으로 올 1월 착공해 2026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예식장 자리에 지상 24층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키움센터, 청소년문화센터 등이 들어서 지역의 주거와 사회기반시설 확충에 기여하게 된다.


시는 사업 확대를 위해 자치구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지난 7월과 8월 조례·운영기준을 순차적으로 개정했다. 개정안의 주된 내용은 역세권 범위가 승강장 경계로부터 250m였으나, 더블역세권 등 중심 이상 및 환승역의 경우 350m로 완화했다. 이에 전체 역세권 면적은 48.7㎢로 늘어났다. 또 그동안 사업대상지에서 제외한 재정비촉진지구 중 존치관리구역과 정비구역 해제지역도 사업대상지에 포함했다. 홍제역 주변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가능해진 이유다. 1500㎡ 미만의 소규모 부지도 위원회가 인정할 경우 사업이 가능해지도록 문을 열었다.


공공시설의 유형도 지역현황과 사업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했다. 가령 기존에는 무조건 공공주택의 비중을 30%로 정하고 한 가지 유형은 50%를 넘지 못했다면 이제는 공공주택, 지역 필요시설, 공공임대상가 등의 비율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공공기여 시설은 도시관리계획을 통해 실제 지역에 필요한 기능이 들어올 수 있도록 대상지의 특성을 고려해 정한다.

현재 추진 중인 역세권 활성화 사업에서는 체육시설, 키즈카페, 청소년 수련시설 등이 계획돼 있다. 계획수립이 완료된 15개소를 통해 확보한 지역 필요시설 면적은 약 3만7000만㎡ 이상이다. 특히 자치구와 협의해 영유아·아동·청소년 보육시설 등이 우선 확충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역세권 활성화 사업 추진을 희망하는 사업자는 25개 자치구를 통해 상시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역세권 활성화 사업'으로 검색 후 사업 운영기준과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 후 구청에 제출하면 된다.

서울시 역세권활성화사업 팀장은 "올해만 최근까지 11개소를 사업대상지로 지정했다"면서 "운영기준을 개정한 이후로 문의가 더 많아졌는데 최근 4~5곳의 요청을 받아 주민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주민뿐 아니라 사업 주체자 등 관계자와의 접점도 확대한다. 올해 8월과 9월 2차례에 걸쳐 사업설명회를 진행한 데 이어 사업시행자를 대상으로 별도 설명 자리를 갖고 자치구 주민설명회도 적극 지원한다.

내년에 관련 사업은 더욱 가시화할 전망이다. 내년 상반기에만 공릉역, 홍대입구역, 서울대벤처타운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둔촌동역A, 삼양사거리역 등 6개소가 착공을 준비 중이다. 내년 착공 예정인 지하철 7호선 공릉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은 면적 약 6900㎡로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했다. 용적률도 종전 약 80%에서 600%로 약 520% 높아졌다. 옛 전화국 등 자리에는 지하6층~지상 28층 공동주택, 업무시설, 공공임대상가, 주민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